1. 역사적 맥락에서 본 왕양명
왕양명은 명나라 헌종憲宗 성화成化 8년인 1472년에 태어났다. 왕양명王陽明의 본래 이름은 수인守仁이고 자字가 백안伯安으로서 절강성 여요餘姚 사람이다. 왕양명은 젊은 날, 병법에 관심이 많았고 28세 때 진사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다. 그러나 34세 때 탄핵 상소를 올렸다가 오히려 곤장 40대를 맞고 기절하였다. 37세 때 유배지인 귀주 용장역에서 머무는 동안 깨달음을 얻었다. 밤중에 격물치지格物致知의 의미를 홀연히 깨닫고大悟 자기도 모르게 소리지르고 펄쩍 뛰어 시종을 놀라게 했다. 그 당시 왕양명은 성인의 도道는 오성吾性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이전의 방법론인 사물로부터 리理를 추구하는 것은 오류라는 것을 깨달았다. 왕양명은 43세 때 치량지致良知만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다가 명나라 세종世宗 가정嘉靖 7년인 1528년에 타계하였다. 향년 57세였다.
2. <대학문大學問>
<대학문>은 양명학의 교본이다.
+ 명명덕明明德
왕양명은 <대학문>에서 말하기를 "대인大人은 천지天地의 모든 사물과 일체一體가 된 자이다. 따라서 그는 천하天下를 한 집안으로, 중국中國을 한 인간으로 여긴다. 육체를 근거로 너와 나를 구별하면 소인小人이다. 그러므로 대인大人이 천지天地 모든 사물과 일체가 된 것은 의도意한 것이 아니라 그 마음의 본래本 인仁으로 인하여 천지天地 모든 사물과 일체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어찌 대인大人만 그렇겠는가. 소인小人의 마음도 그렇지 않음이 없지만 스스로 작아져 좀스러워진 것이다. 아이가 우물에 빠지려는 것을 보면 누구나 깜짝 놀라 측은지심惻隱之心이 생긴다,. 그 이유는 마음의 인仁이 그 아이와 일체一體이기 때문이다... ... 이런 일체의 인一體之仁은 소인의 마음에도 반드시 있다. 이 성性은 천명天命로부터 나온 것이므로 저절로 빛나고 꺼지지 않는 영靈이므로 명덕明德이다... ... 따라서 대인大人이 되려는 학생은 오직 사욕私慾을 제거하여 막힘이 없어지면 그 명덕明德이 저절로 빛남으로써 본래대로 천지天地의 모든 사물과 일체가 되는 것이지 본체本體의 밖에서 무엇인가 들어와 덧붙는 것이 아니다."라고 하였다. 왕양명은 모든 사물과 일체가 되는 것을 인仁으로 보았다. 이러한 인仁을 실현시키는 것이 명명덕明明德이다. 그럼, 명명덕은 어디 있는가. 명명덕은 인간이 하늘天로부터 부여받은 성性이다. 이 성性은 꺼지지 않는 영靈이지만 사심私心으로 인하여 막혀 있으므로 그 밝은 빛을 볼 수 없게 되어서 사물과 일체를 이룰 수 없는 것이다. 이것이 왕양명의 포인트이다. 육상산에 따르면 우주가 인간을 격리시킨 것이 아니라 인간이 스스로 우주를 격리시켰다. 우주를 격리시킨 자는 소인小人이다. 맹자가 말한 측은지심, 수오지심 등 사단四端은 명덕明德이 빛남으로 인하여 생기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 친민親民
왕얌명은 <대학문大學問>에서 말하기를 "밝게 비추는 명명덕明明德은 천지의 모든 사물과 일체인 그 본체體를 드러내 세우고, 백성을 사랑함親民은 그 본체體를 실현토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명명덕明明德은 친민親民을 위해 나온 것이고 친민親民은 그 명덕明德이 빛나는 곳이다... ... 군신, 부부, 친구, 더 나아가 산천, 귀신, 금수, 초목 등과 친親하여 나吾와 일체의 인仁을 이루면 나의 명덕明德은 완전히 밝혀진 것이고 세계 모든 사물과의 일체一體가 된 것이다... ... 이것이 진성盡性이다."라고 하였다. 육상산에 따르면 마음은 하늘天과 인간이 공유하는 판所이었다. 따라서 하늘天과 인간은 다르지 않다. 마음의 본체인 본심本心은 모든 사물과 인간으로 이루어진 현상세계로부터 나온다. 따라서 본심의 명명덕은 천하의 모든 사물과 인간을 비추고 있는 것이다. 인간은 사심私心을 버리면 성性이 활동하게 되므로 사물과 일체를 이룰 수 있다. 사물과 일체를 이룬다는 것은 천하의 본질을 파악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왕양명의 포인트이다.
+ 지선至善
왕양명은 <대학문>에서 말하기를 "지선至善은 명덕明德과 친민親民의 최고 기준極이다. 신이 계시한 성天命之性은 순수한 지선至善으로서 그 빛나는 영靈은 꺼지지 않는다. 이 지선至善이 나타나는發見 곳은 명덕明德의 본체本體이고 그곳은 양지良知의 판所이다. 지선至善이 나타남으로 인하여 옳은 것은 옳게 되고 그른 것은 그르게 됨은 경중輕重, 후박厚薄에 따라 그 느낌과 감동이 변하여 운동하면서 종잡을 수 없이 저절로 하늘天 가운데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선은 백성民彛과 현상物則의 기준極으로서 그 사이에는 조금의 증감이나 의혹도 있을 수 없다."고 하였다. 지선至善이란 하늘天으로부터 부여받은 인간의 성性이다. 지선至善, 즉 인간의 최고 성性은 바로 천하의 양지良知이다. 치량지致良知 즉, 양지를 깨닫는 것은 하늘天이 부여한 성性을 회복하는 것이다. 이 영원히 빛나는 영靈인 성性 즉, 지선至善은 인간과 사물로 가득찬 천하의 본질이다. 이러한 성性을 깨닫기 위해서는 사심私心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것이 왕양명의 포인트이다. 왕양명을 비롯한 심학자心學子들은 천지의 이원성을 부정하면서 오로지 형이하形而下의 천하만을 인정한다. 왕먕명은 말하기를 "인간의 마음은 하늘의 연못天淵이니 이 마음의 본체는 담지 않은 것이 없는 판所이다. 원래 하나의 하늘天만 있으니 사욕私欲으로 인하여 장애가 생기면 이 하늘天의 본체本體를 상실한다... ... 따라서 이제 생각에 생각을 더하여 양지를 깨달으면 치량지致良知을 얻고 그런 장애와 질곡이 일제히 제거되어 인간의 마음은 다시 본체本體가 되어 하늘의 연못天淵이 된다."고 하였다. 인간의 마음은 사욕私慾이 제거되어야만 성性 즉, 양지良知, 지선을 깨닫고 하늘天의 마음을 회복할 수 있다. 이것이 왕양명의 포인트이다.
3. 지행합일知行合一
왕양명에 따르면 양지良知는 성性이고 치량지致良知는 성性을 깨닫는 것이다. 지행합일이란 양지良知는 인간의 마음에서 진행行하여 하늘天의 본체인 본심本心과 합일合一힌다는 것이다. 측은지심의 양지良知는 인간의 성性이지만 그 본체인 하늘天과 합일合一을 이행行한다. 교부철학자 안셀무스는 '알기 위하여 믿는다.'고 했다. 왕양명의 술어로 말하자면, 믿는 대상은 양지이고 믿는 대상이 시공을 경과하여 드디어 알게 된 것은 치량지이다. 치량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사심私心이 제거되어야 한다. 왕양명은 말하기를 "하늘이 계시한 성天命之性은 내 마음의 본체本體로서 스스로 빛나면서 깨우쳐 밝히는 영靈이다. 오직 내 마음의 양지良知만이 스스로 그 선善을 알고, 또 오직 내 마음이 양지良知만이 그 불선不善을 안다."고 하였다. 양지는 그 본체인 하늘天을 향하고 있으므로 선악을 분별할 수 있다. 왕양명의 제자가 묻기를 "사람들은 이미 부친에 대하여 효도해야 함을 알고, 형에 대하여 공손해야 함을 알지만 실제로는 효도하지 않고 공손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지知와 행行은 분명히 다른 것입니다."라고 하자 왕양명은 답하기를 "그것은 이미 사욕私慾에 의하여 지知와 행行이 단절된 경우이지 지행知行의 본체本體는 아니다. 지知가 행行하지 않는 경우는 없다. 알면서 행하지 않는다면 아직 모르는 것이다. 지행知行에 대한 성현의 가르침은 바로 그 본체本體를 회복하려는 것이지 다른 것이 아니다... ... 지知는 행行의 주된 뜻意이고 행行은 지知의 실현功夫이다. 지知는 행行의 시작이고 행行은 지知의 완성이다. 때를 만나 실현되면 오직 지知만 말하더라도 이미 행行이 내재하고 오직 행行만 말하더라도 지知가 내재한다."고 하였다. 아이가 우물에 빠지려 할 때 누구나 깜짝 놀라 측은지심이 생긴다. 마음의 측은함, 즉 양지는 그 선善을 향하여 나아간다. 따라서 사심을 제거하여 지행知行의 본체를 본 자가 있다면 그는 그 본체를 따라 행동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4. 주왕이동朱王異同
왕양명은 자신의 학문을 주자의 학문과 구별지었다. 왕양명은 말하기를 "주자가 말한 격물格物은 사물안에 있는 그 리理를 연구하는 것으로서 즉물궁리卽物窮理란 모든 사물 안에 있는 리理를 확정定하는 것이다. 내 마음은 모든 사물 안에 놓여 있는 리理를 찾게되므로 그것은 마음心과 리理를 둘로 쪼개는 일이다. 반면에 내가 말하는 치지격물致知格物은 내 마음의 양지良知는 모든 사물로부터 나온 것이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내 마음의 양지 안에는 천리天理가 있는 것이다. 천리天理를 담고 있는 모든 사물은 내 마음 판의 양지가 되면서 저마다 리理를 세우게 된 것이다. 내 마음에 사물이 들어와 양지로 전환되는 것이 치지致知이고 그 사물이 마침내 내 마음에 리理를 세우는 것이 격물格物이다. 따라서 마음心과 리理는 합하여 통일一된다."고 하였다. 주자는 형이상의 리理와 형이하의 성性을 구별하였다. 형이하 모든 사물의 성性은 그 형이상의 리理와 합하여야 한다. 인간의 성性도 리理와 합일하여야 하고 인간 마음心의 성性도 리理와 합해져야 한다. 이것이 즉물궁리이다. 즉 즉물궁리란 모든 사물과 현상의 리理를 연구하여 정립하는 것이다. 반면에 왕양명은 형이상形而上을 인정하지 않으므로 하늘天과 리理는 형이하에 존재한다. 하늘天의 세계, 즉 형이하의 현상세계와 모든 사물은 저마다 리理를 갖고 있어서 인간 마음에 들어오면 양지良知가 된다. 이것이 치지致知이다. 이 치지致知, 즉 양지가 스스로 자신을 실현하면서 마음을 깨우치는 것이 격물格物이다. 재미있게도, 리理의 성격을 갖고있는 치지致知, 즉 양지는 인간의 마음 판에 들어와서 자신을 실현시키기를 기다리다가 사욕私慾으로 가득찬 마음이 깨지면서 본심本心을 실현시키는 것이다. 이것이 치지격물致知格物이다. 따라서 마음이 없으면 양지는 자리잡을 데가 없는 것이다. 즉 마음이 없으면 리理도 없다. 이것이 왕양명의 포인트이다. 왕얌명은 말하기를 "심즉리心卽理, 즉 마음이 곧 리理이다. 현상세계天下에 어찌 마음 밖의 일이 존재하고 또 마음 밖의 리理가 존재하겠는가."라고 하였다. 왕양명에 따르면 마음 판에 놓여있는 모든 사물은 그 리理를 내포하고 있다. 즉 심즉리心卽理이다. 한 인간이 효도를 한다면 그 인간의 마음은 효도의 양지良知, 즉 마음 판에 놓여있는 리理가 본심으로 돌아가 합일을 실현한 것이다. 재미있게도, 한 인간이 효도를 하지 않는다면 그 인간의 마음 판에는 효도의 양지가 아직 들어오지 않았거나 들어왔어도 사욕으로 인하여 본심과 합일하지 못한 것이다. 반면에 주자에 따르면 한 인간이 효도를 하는 이유는 효도의 리理가 형이상의 본체세계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상세계의 모든 인간은 본체세계에 존재하는 효도의 리理에 그 성性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효도하지 않는다면 악惡이 되는 것이다. 이것이 주자와 왕양명의 차이이다. 왕양명은 말하기를 "풀, 나무, 기와, 돌은 인간의 양지가 없다면 풀, 나무, 기와, 돌이 될 수 없다... ...세계天地 또한 인간의 양지가 없었다면 세계天地가 될 수 없었다. 세계 모든 사물과 인간은 원래 일체一體이고 그 흔적은 영의 공간靈處에 남겨져 있다. 인간 마음 속의 한줄기 빛나는 영靈이 그 흔적이다."라고 하였다. 인간의 마음은 영靈이다. 영靈의 공간에는 세계와 모든 사물이 구비되어있다. 즉, 마음이 곧 세계이다. 마음을 알면 세계를 아는 것이다. 이것이 유심론이다. 이것이 왕양명의 포인트이다. 반면에 주자에 따르면 본체세계의 존재인 리理는 현상세계 속에서 성性으로서 생성되었다. 성性은 모든 사물의 형이하적 상象이지만, 그 자체는 리理가 아니다. 주자가 말하는 마음의 리理는 본체세계에 따로 있다. 왕양명의 친구가 바위틈의 꽃을 가리키며 묻기를 "현상세계天下에, 마음 밖의 사물은 없다고 했으나 이처럼 꽃은 산에서 피고 지니 내 마음과 무슨 상관이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왕양명은 답하기를 "그대가 이 꽃을 보지 않았을 때 이 꽃과 그대의 마음은 함께 적막 속에 돌아가 있었네. 그대가 이 꽃을 보게되자 꽃빛은 즉각 환하게 빛나게 되었네. 따라서 이 꽃은 그대의 마음 밖에서는 존재할 수 없는 것이라네."라고 하였다. 모든 사물은 원래 그 자체의 빛을 갖고 있다. 사물의 빛은 인간의 마음 밖에서는 빛나지 않는다. 왜냐하면 마음 속의 영靈이 사물을 비추어야만 사물은 빛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사물은 인간의 마음 판에서만 빛남으로써 존재하게 된다는 것이다. 왕양명은 말하기를 "세계天地, 귀신, 모든 사물은 내 빛나는 영靈이 밝게 비춤으로써 존재하는 것이다. 나의 빛나는 영靈이 밝게 비추지 않는다면 세계, 귀신, 모든 사물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제, 죽은 사람을 한번 보라. 이미 그의 맑은 영靈이 흩어지면 세계와 모든 사물은 도대체 어느 공간에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왕양명에 따르면 먼저, 인간 마음이 있고 나서 세계와 모든 사물이 있는 것이다. 빛나는 영靈은 세계와 모든 사물을 비추면서 세계와 모든 사물을 세계화하고 사물화한다. 따라서 마음 속 빛나는 영靈이 떠나면 세계와 사물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왕양명은 현상세계天下에 마음心 밖의 사물은 없다고 했다. 반면에 주자는 현상세계天下에 성性 밖의 사물은 없다고 했다.
5. 불교와 도교 비판
주자에 따르면 유가儒家는 성性을 실實로 여기고 불가佛家는 성性을 공空으로 여긴다. 반면에 왕양명은 심心을 실實로 보았다. 왕양명은 특히 마음心 속 빛나는 영靈을 강조하였다. 마음 속 빛나는 영靈은 양지良知를 비추고 양지는 빛나게 된다. 왕양명은 말하기를 "도교仙家는 허虛를 강론하는데 성인聖人이 어찌 허虛에 한 점의 실實을 덧붙이겠는가. 불교는 무無를 강론하는데 성인이 어찌 무無에 한점의 유有를 덧붙이겠는가. 도가의 허虛는 양생養生에서 비롯되었고 불교의 무無는 생사고해의 해탈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본체本體에 대하여 그와 같은 의도를 덧붙인 것이므로 저 허虛와 무無는 본색本色이 아니라 오히려 본체에 장애를 가한 것이다. 성인은 다만 양지良知의 본색本色으로 돌아갈 뿐 어떤 의도에도 집착하지 않는다. 양지의 허虛는 곧 신天의 태허太虛이고 양지의 무無는 곧 태허의 무형無形이다. 해, 달, 바람, 번개, 산천, 인간, 사물 등 모든 형태의 존재는 다 태허의 무형 속에서 발현하여 나온 것이므로 신天은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는다. 그래서 성인은 양지가 드러난대로 따를 뿐이다. 세계天地의 모든 사물은 내 양지가 빛남에 따라서 존재하는 것이므로 한 사물이라도 양지가 되어서 빛나지 못한 적이 있었는가."라고 하였다. 양지良知는 절대적 기준으로서 현상세계, 즉 신天의 세계와 모든 사물의 가능성이다. 인간은 그러한 양지에 따를 뿐이고 도교와 불교처럼 그 본체에 인위人爲를 가하지 않는다.
6. 악惡의 기원
왕얌명에 따르면 현상세계天下에 마음 밖의 사물은 없고, 마음 속에는 빛나는 영靈이 있다. 그럼, 악惡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왕먕명은 말하기를 "지선至善이 마음의 본체本體이다. 조금이라도 이 본체本體를 넘어서면 악惡이다. 하나의 선善이 있고 그에 대립하는 하나의 악惡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선악善惡은 한 물건一物일 뿐이다."고 하였다.선악은 서로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선善으로부터 빗나간 것이 악惡이다. 이것이 왕양명의 포인트이다. 왕얌명은 말하기를 "희喜, 노努, 애哀, 구懼, 애愛, 오惡, 욕慾은 7정情이다. 이 7정은 인간의 마음과 합하여 함께 있으므로 양지良知는 더 밝게 빛나지 않으면 안된다. 마치 햇빛처럼 조금의 틈이라도 있으면 일제히 빛을 비추어 드러내 밝히는 것과 같다. 구름과 안개가 온 공간을 뒤엎더라도 태허太虛의 빛色象은 구별되듯이 햇빛 역시 소멸되는 것이 아니다. 구름이 햇빛을 가린다고 하여, 신天은 구름이 필요없다고 가르치지 않는다. 7정情이 스스로 그러하게自然 흘러가는 것은 모두 양지良知의 기능用이므로 7정을 선악善惡으로 나눌 수 없지만 기회를 주면 안된다. 7정情이 나타나면 마음은 욕망慾과 함께 있는 것이므로 양지의 빛은 가려져 있는 것이다. 그러나 때마침 양지가 모여 비춤으로써 편견이 제거되고 그 본체는 회복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7정에 기회를 주면 마음의 본체, 즉 본심은 가려지게 된다. 그러나 7정은 마음 속 영靈을 완전히 가릴 수는 없다. 때에 맞게 빛나는 영靈이 양지를 비추면, 즉 치량지致良知에 이르면, 새롭게 빛을 얻은 양지는 빛을 반짝이며 7정으로인한 편견을 제거하고 본심本心을 회복하게 된다. <대학>에 따르면 마음에 분노가 있으면 바르게 될 수 없다고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왕양명은 <전습록>에서 말하기를 "분노가 인간의 마음에 어찌 없으리오마는 다만 기회를 주어서는 안된다. 사람이 분노에 조금이라도 기회意思를 주어 적당함을 넘는 것은 확연대공廓然大公한, 즉 크게 일어나 저절로 빛나는 본체를 벗어난 것이다. 그래서 분노가 있으면 바르게 될 수 없다. 분노가 사물화되어 들어오면 단지 그에 순응하기만 할뿐 조금의 기회도 주지 않으면 심체心體는 저절로 크게 빛나므로 본체本體의 바른 상태에 도달한다. 이를테면 밖에서 사람들이 싸우는 것을 볼 때 그것이 불의하면 내 마음은 분노하지만 본심本心은 저절로 크게 빛나므로 조금의 기氣도 발동하지 않는다. 이와같이 분노한 사람은 이러한 마음으로 기회를 주지않으면 바르게 될 수 있다."고 하였다. 분노하는 것은 생각이 대상에 기회를 주었기 때문이다. 7정에 기회를 주어서 적당함을 넘는 것은 본체를 벗어나는 일이다. <단경壇經>에 따르면 첫 생각에 대상이 떠오르면 번뇌이고 다음 생각에 그 대상을 벗어나면 깨달음이라고 했다. 정호는 <정성서定性書>에서 성인의 기쁨은 기뻐해야하는 대상에서 오고 성인의 분노는 분노하지않으면 안되는 대상에서 온다고 하였다. 성인의 마음은 맑은 거울처럼 저절로 밝게 비추므로 사물화된 분노가 도래하면 그에 순응하지만 기회를 주지 않으므로 얽매이지 않는다.
+ 선악론善惡論
왕양명에 따르면 선악은 좋아하고 싫어하는 감정에서 비롯된다. 원래 모든 사물은 선악의 구분이 없다 설간薛稈이 화단의 잡초를 뽑으면서 양명 선생에게 묻기를 "세계天地에 왜 선善은 기르기 어렵고 악惡은 뽑기 어렵습니까."라고 하였다. 왕양명은 답하기를 "... ... 그런 선악의 개념은 육체로부터 일어난 것으로서 그릇된 것이다... ... 세계天地의 뜻生意은 꽃이든 잡초든 똑같으니 무슨 선악의 구분이 있겠는가. 네가 꽃을 관상하려고 하므로 꽃은 선善이고 잡초는 악惡으로 간주한 것이다. 만약 잡초를 약으로 쓰려한다면 잡초는 선, 꽃은 악으로 간주할 것이다. 이러한 선악의 개념은 모두 네 마음의 좋아함好과 싫어함惡으로부터 생긴 것으로서 그릇된 것이다."라고 하였다. 설간은 묻기를 "그럼, 선도 없고 악도 없다는 말씀입니까."라고 하였다. 왕양명은 답하기를 "선도 없고 악도 없음은 '리理의 정지靜'이고 선도 있고 악도 있음은 '기氣의 운동動'이다. 기氣가 운동하지 않으면 선도 없고 악도 없게 되므로 이것이 지선至善이다."라고 하였다. 설간이 묻기를 "그럼, 불교에서 말하는 선도 없고 악도 없다는 말과 어떻게 다릅니까.'라고 하였다. 왕양명이 답하기를 "불교는 선도 없고 악도 없는 상태가 떠오르기를 기다리면서 일체의 일을 상관하진 않으므로 현상세계天下를 다스릴 수 없다. 그러나 유교의 성인이 말하는 선도 없고 악도 없음은 오직 일부러 좋아하거나 싫어하지 않고 오직 기氣가 운동하지 못하도록 성인의 도道을 좇아 그것을 기준으로 삼고 한결같이 천리天理에 따라 모든 사물을 돕고 완성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설간은 묻기를 "그럼, 잡초는 뽑아서는 아니 되겠군요."라고 하였다. 왕양명은 답하기를 "그와 같은 입장이 부처와 노자의 견해이다. 잡초가 방해가 된다면 뽑지 못할 이유가 어디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설간은 묻기를 "그렇게 된다면 일부러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이 아닙니까."라고 하였다. 왕양명은 답하기를 "일부러 좋아하거나 싫어하지 않는다고 전혀 호오好惡의 감정이 없다는 뜻이 아니다. 그렇다면 지각이 없는 사람일 것이다. 작위作하지 않는다는 것은 호오好惡가 리理를 좇아 드러나도록 조금의 기회도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면 호오好惡는 같은 것이 되어버린다."고 하였다. 설간은 묻기를 "잡초를 뽑는 일이 어떻게 리理가 드러나도록 하는 일이고 감정에 기회를 아니 주는 일입니까."라고 했다. 왕양명은 말하기를 "잡초가 방해가 된다면 뽑아야 하는 것이 이치理이므로 뽑을 따름이다. 우연히 뽑지 못하더라도 마음에 번뇌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조금이라도 호오의 감정에 기회를 주면 심체心體에 번뇌가 되어 기의 공간氣處이 심히 운동하게 된다."고 하였다. 우리는 자기의 신체를 나로 여기고 나와 대립하는 모든 사물을 타자로 보는데 이것은 바로사심私心 때문이다. 그래서 왕양명은 개인의 호오好惡의 감정으로부터 선악의 개념이 일어난다고 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호오의 감정을 인정하면서도 기회를 주지 않으면 호오는 서로 다른 것이 아니게 되고 호오好惡는 그 이치에 따라 사물화되므로 번뇌할 필요가 없게된다. 이것이 왕양명의 포인트이다.
7. 동정합일動情合一
이른바 한결같이 리理에 따른다는 것은 왕양명의 술어로 말하자면 한결같이 양지良知의 흐름에 맡긴다는 말이다. 왜냐하면 양지는 리理의 기준이기 때문이다. 왕양명은 말하기를 "성인이 앎에 이른致知 업적은 쉼없이 성誠에 다다른 것이다. 그 양지의 본체는 맑은 거울처럼 밝으므로 조금의 먼지도 없으니 추한 것이 도래하면 추한대로 마주하고 아름다운 것이 도래하면 아름다운대로 마주한다. 맑은 거울은 조금도 오염되지 않았으므로 이른바 '정情으로 모든 일에 마주하지만 정이 없다無情.'는 말과 같다. 불교 또한 "그 대상이 없음에도 그 마음이 일어난다."고 하는데 이와 다른 것이 아니다. 맑은 거울은 아름다운 것은 아름다운 것에 아름답게 마주하고 추한 것은 추하게 마주하는데 한번 비추기만 하면 모두가 모두 진실이 된다. 빛줄기가 그 마음 공간心處에서 일어나면 아름다운 것은 아름다워지고 추한 것은 추해지지만 한번 비추고 나면 그림자를 남기지 않으므로 비춘 대상이 없다는 말이다."라고 하였다. 양지의 본체는 본심이므로 사심私心이 제거되면 본심의 빛줄기는 있는 그대로 진실을 밝히지만 그림자를 남기지 않으므로 보통의 빛과는 다른 것이다. 양지는 이 빛줄기에 의하여 치양지致良知가 된다. 왕양명은 말하기를 "마음은 운동動도 정지靜도 없다는 말은 정지靜는 마음의 본체이고 운동動은 마음의 기능用이라는 말이다. 군자는 운동과 정지를 분리하지 않는다. 마음은 정지할 때도 늘 자각하고 있으니 없지 않고 따라서 늘 마주한다. 마음은 운동할 때도 늘 평정定되므로 있지 않고 따라서 늘 고요하다. 늘 마주하고 늘 고요하므로 운동과 정지는 각자 그 일이 있다. 이것이 집의集義이다. 의義를 축적集하므로 큰 후회가 없는데 이른바, 운동할 때도 평정하고 고요할 때도 평정하다는 말이다... ... 리理를 따르는 것이 정지靜이고 욕망을 좇는 것이 운동動이다. 욕망이란 꼭 음악, 미색, 재물, 이익 등 외적인 유혹만이 아니라 마음 속의 사심私心은 다 욕망이다. 따라서 리理를 따르면 온갖 변화에 대처하더라도 정지靜이다. 염계(주돈이)는 정靜을 주主로 삼아서 사욕慾을 없앤다고 했다."고 했다. 동정합일動靜合一은 절대적 정지이다. 활동할 때도 평정하고 고요할 때도 평정한 것이 참된 평정이다. 정호는 <정성서定性書>에서 이와 똑같이 언급하였다. 동정합일에 이르면 천리天理, 즉 밝게 비추는 영靈의 본체는 조금도 모자라지 않게 되므로 동요, 걱정, 두려움, 환희, 분노, 편견, 아집, 불만족, 부끄러움이 사라지고 모든 행동이 예禮에 합당하게 되고 마음이 바라는 대로 따르더라도 법도에 맞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치량지致良知에 대한 왕양명의 포인트이다.
<참고문헌>
풍우란. 박성규 역. 중국철학사.
자세하게 설명이 잘 되어있네요. 감사합니다.
답글삭제